학부정보

교과목 소개

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교과목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부교과목학수번호, 교과목명, 설명으로 구성된 학부교과목표
학수번호 교과목명
20335 사회학의 이해(Introduction to Sociology)
  • 복잡한 현대사회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사회 제반 현상의 원리와 인간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사회학적 개념과 이론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현상에 대한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인간의 삶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사회의 원리와 인간관계를 모색해본다.
  • This course attempts to provide students with basic sociological concepts and perspectives concerning human groups and societies, including socialization, culture, family, organization, stratification and social change.
20343 고전사회학 이론(Classical Sociological Theory)
  • 이 과목은 대표적인 고전사회학자들의 사상 체계를 검토함으로써 사회학의 역사적인 발생 배경과 주요 이론들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회구조와 인간의식의 상호관계를 사적으로 규명해 감으로써 학생들의 지적배경과 전망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는 과목이다.
  •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work of early sociologists. Their classical theories are foundational to the discipline of sociology. This course aims at broaden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ideas, methods, and perspectives of these important thinkers.
33706 세계거시역사 변동(Macro Social Change)
  • 인간사회의 구조변동을 거시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현대사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나아가 미래사회를 조망하는 안목을 배양한다.
  • This course is a study of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ange and the consequences of innovation in technology and social strategy. The conception, patterns, motivation, and appreciation of social change, including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nd their effects on future human life will be studied from a sociological viewpoint.
33708 조직 사회학(Social Organizations)
  • 인간 사회생활의 기초가 되는 조직생활을 좀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조직의 개념과 종류, 조직을 구성하는 공식적·비공식적 구성요소, 그리고 조직의 변화와 발전을 살펴보는 교과이다. 이러한 문제의 이론적인 고찰과 더불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조직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한층 실제적인 조직생활의 이해를 도모한다.
  • This course investigates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organizational process, and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It is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theories, the pattern of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al influence on human life, and power relations within organizations.
33725 대중문화와 사회(Popular Culture and Society)
  • 현대사회에서의 대중매체의 영향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다.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 상식적인 대중문화라는 개념 역시 이러한 대중매체에 의해 형성되고 또 제공되는 현상들에 국한되어 있다. 이 강의는 첫째 이러한 좁은 의미의 대중문화의 개념이 아닌 좀더 포괄적이고 학문적인 개념을 제공하고 둘째 다양한 이론들과 연구들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대중문화를 문화사회학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함께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The course explores the nature of mass society as a sociological concern and examines various concepts and perspectives on culture and mass society. The main objective of the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ulture in general,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change and culture in a modern mass society. Some selected issues of mass culture will be studied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with an emphasis on social change.
37182 기초사회통계 (Social Statistics)
  • 학생들은 사회과학에서 양적분석의 기초가 되는 통계적 원리와 기본적인 통계적 분석기법을 배운다. 이 수업은 학문적 연구와 취업 모두에서 통계적 분석 능력과 창조적 적용능력이 중요해지는 세계적인 추세를 반영한다. 이 수업은 학생들에게 교수와의 대화, 피드백 및 독창적 적용을 중시한다.
  • The course teaches fundamental principles of statistical methods in social sciences, reflecting the global trends of of employing statistical methods in social researches with relevance and creative imagination. The course emphasizes creative application, dialogue, and feedback with instructor.
20335 가족 사회학(Sociology of Families)
  • 가족을 사회학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개념과 방법론을 탐색하는 과목으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 도전하는 다양한 가족현상에도 주목한다. 가족 기능 및 형태의 분화,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의 변화, 나아가 가족 문제 및 가족 폭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족현실을 다룸으로써 가족을 개인적 고민으로부터 사회적 이슈로 인지할 수 있는 사회학적 상상력을 연마한다. 결혼과 가족의 ‘예기 사회화’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사랑과 결혼의 의미를 생각해 본다.
  • The course will introduce major theoretical views and analytical concepts deemed important for a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family. The main objectiv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vast changes of the family in the modern social structure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change and the family.
33707 지식정보 사회학(Knowledge, Technology, and Society)
  • 의사소통과 뉴미디어는 대면적 상호작용이 디지털 방식의 의사소통으로 대체됨으로써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 현상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적으로 탐색하는 과목이다. 인터넷과 기타 스마트기기와 같은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들이 교육, 여가, 문화 등을 대중화 시키는데 기여 한다는 찬성론과 탈맥락적 의사소통으로 인해 반사회적인 문화를 생산한다는 반론을 살펴본다.
  • This course examines the rol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in society, and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emerging new media technologies.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ir impact on changes in social relations and structure.
33713 기업과 노동의 사회학(Sociology of Work and Employment)
  • 일과 고용은 세계화와 기술혁신으로 인해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학적 연구의 핵심 주제이다. 이 과목은 미래의 직업인으로서의 수강생이 급변하는 노동시장과 고용현실, 유연전문화 등 새로운 작업조직과 업무방식의 등장, 발전된 산업국가의 고용 정책 및 노사관계 제도 비교 등과 관련된 체계적이며 실용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또 이와 관련된 경험적 연구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ave profoundly changed boundaries and contents of work and employment.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an overview of key themes in the sociology of work and employment. Topics covered include: the growth of nonstandard employment arrangements, flexible specialization and post-Fordism, and comparative industrial relations and employment polices.
33722 젠더와 사회(Gender and Society)
  • 한국사회의 불평등을 구성하는 주요 축으로서 성별분업구조 와 성별 계층화 현상을 연구하고, 젠더 불평등 현상의 원인과 현황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을 시도한다. 또한 젠더 시각에서 다양한 사회현상을 분석함으로써 성맹(gender-blind)적 시각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 Sociological explanations on the structure of the division of labor by gender and gender stratification system in the Korean society will be explored. The question, what is the gender-sensitivity, is the major concern of this course, and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analyse and understand social realities from the gender perspective.
34488 감정과 심리의 사회학(Social Psychology)
  • 사회심리학이 독립과목으로 태동한 것은 19세기 후반이나 현대사회에 와서 학문적으로 또는 실제적인 목적으로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는 학문이다. 감정과 심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해서 종합과학적인 입장에서 사회와 개인 간 관계를 분석하는 기초훈련을 중요한 과제로 삼는다.
  • Social psychology as a social science has developed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course will introduce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in social psychology and emotion and guide studen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through the dynam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6061 사회조사 방법론(Social Research Method)
  • 사회학 전공생으로서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사회조사 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는 과목이다. 학생들이 다양한 사회학적 연구주제와 대상에 따라 적절한 연구방법을 선택하고 이를 과학적, 논리적,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목표이다.
  • This course introduce the methodology and the techniques of social research, and will be extended to course 20347 Social Research Practice. This course will provide the students with how to select the proper research method and perform the adequate research steps for the various sociological subjects.
20339 비교 사회학(Comparative Sociology)
  • 비교사회학은 두 개 이상의 사회 또는 국가에 대한 비교를 통해 사회학적 지식과 이론의 발전을 추구한다. 수업에서는 사회비교를 위한 연구방법을 고찰하고 선정된 주제나 국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한다.
  • The main objectives of comparative sociology are to generalize the principles of social phenomena and to verify sociological theory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groups in a society, of different societies, and of different cultures. The course will introduce various comparative approaches so as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society and to find common and varying elements between different units of a society and between different societies.
20347 사회조사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of Social Research Practice)
  • 이 과목은 「사회조사방법론」의 심화과목으로, 사회조사를 어떻게 진행하고, 조사를 통해 나온 자료들을 어떻게 관리, 해석하는가를 현장 실습을 통해 다룬다. 직접 사회조사현장 을 경험하고 모아진 자료를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처리 분석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하여 여기서 배운 이론과 방법론이 어떻게 실생활을 연구하고 조사하는데 쓰이는가를 알아간다. 조사 분야에 취업을 원하는 학생이나 대학원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는 필수적인 과목이다.
  • This is the advanced course of the "Methods of Social Research". Students will have a chance to practice how data are gathered and the basic statistics used to describe the data. The course will be helpful especially for the students who hope to work in the research field, and is the requirement for the students who apply for the graduate program.
20367 현대사회학 이론(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 사회적 행위와 사회체계에 대한 사회학 이론들과 소개하고 비판적 고찰과 새로운 발전 및 종합가능성을 검토한다. 이 강의는 급속히 세계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전지구적 적합성과 현실적합성을 특히 강조한다. 이 수업은 학생들에게 교수와의 대화, 피드백, 사례 및 독창적 적용을 중시한다.
  • This course surveys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and propositions, and discusses critical reactions to them as well as synthesis of theories, This course with emphasis on globalizing aspects of the social dimensions in human life utilizes case study, creative application, dialogue, and feedback with instructor.
33298 경제 사회학(Economic Sociology)
  • 경제자원의 생산, 분배, 소비를 사회구조와 사회과정의 관점에서 조망함으로써 현실경제를 정확하게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이 수업은 경제 이해에 있어서 국제적 감각과 현실적 의미를 강조하며, 학생들에게 교수와의 대화, 피드백, 사례 및 독창적 적용을 중시한다.
  • This course examines the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economic resource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e course emphasizes the globalizing dimensions of the economy in realistic perspectives. The course utilizes case study, creative application, dialogue, and feedback with instructor.
33699 사회계층과 불평등(Social Stratification and Inequality)
  • 사회계층은 불평등한 집단으로 구성된 사회의 현실을 반영한다. 사회 불평등이라는 사회학의 핵심적 화두를 다루는 이 과목은 사회계층과 관련된 주요한 이론적 전망과 경험적 연구, 그리고 계급을 둘러싼 다양한 쟁점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습득한 통찰력에 기초하여 현대 한국사회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제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 수업을 병행 실시한다.
  • Social Stratification and inequality has been at the center of sociological inquiry and research. After reviewing general theories of social class and some important empirical works, this course takes a broader look at socio- economic inequalities in South Korea, and explores some of the important outcomes of such inequality through class discussions.
36021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Global Civil Society and NGO)
  • 현대 시민사회에 대한 안목과 지식을 배양하기 위해 지구적 차원에서 시민사회의 역사적 발달을 고찰하고 인권, 여성, 평화, 환경, 보건, 복지, 노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역적 또는 지구적 시민사회 운동과 국제기구의 활동을 분석한다.
  •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forms of civic participation in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Topics includ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itizenship and civic participat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ttings. The course emphasizes the emerging trend of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r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 in the areas of human right, women, peace, environments, health, welfare, and labor in the age of globalization.
37184 다문화사회와 소수자 연구(Multi-cultural Society and New Social Minorities in Korea)
  • 이 과목은 민족, 계급, 젠더를 중심으로 다문화지형도가 확장되고 노동, 결혼, 탈북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집단이 등장하는 현대 한국사회의 다문화 담론을 살펴보고, 이처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마이너리티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사회통합정책 등 다문화사회의 다양한 과제들을 탐구한다.
  • This Course aims at enhancing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of multi-cultural aspects of Korean society and emerging 'new social minorities', based on such factors as the international marriage, ethnicity, and gender. The course will focus on the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policie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new cultural phenomena taking place in recent Korean society.
30203 인구문제의 사회학(Population and Society)
  • 이 과목은 인구구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사건인 출생, 사망, 결혼, 이동의 여러 과정이 개인의 삶의 질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또한 출산, 사망, 이민, 인구분포, 연령구조, 인구성장에 초점을 두며 이와 관련하여 노화, 가족 변화, 육아, 피임, 임신중절문제도 다룬다.
  • This course is concerned with vital events such as birth, death, marriage and migration, which affect quality of life, population and society. The course focuses on fertility, mortality, migration, population distribution, age structure, and population growth.
33299 문화 사회학(Sociology of Culture)
  • 문화는 가장 많이 듣는 단어이면서 동시에 너무 많은 뜻으로 쓰이고 있어 명확한 개념을 갖기 어려운 단어이다. 이러한 문화를 사회학적으로 다루는 문화사회학은 현재 가장 빨리 발전하고 있는 사회학분야로, 예술, 대중문화, 과학, 법, 언어, 지식 등의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한다. 이 강의는 문화사회학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다양한 이론들과 연구들을 접함으로써 우리가 일상에서 부딪치는 많은 현상들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문화사회학적 시각을 제공한다.
  • This course reviews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ulture studies dealing with culture change, mass culture, culture and class, culture and power, etc. It also explores globalization and cultural lag in postmodern society. Students are expected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of everyday life culture in future society.
33711 의료보건 사회학(Medical Sociology)
  • 이 과목은 건강이나 질병에 관련된 행위는 하나의 사회적 행위이며, 의료제도는 중요한 사회적 제도 중의 하나라는 관점에서 건강 및 질병과 관련된 신념, 행위, 제도, 교육 등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보건의료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시도한다. 또한 향후 학생들이 의료보건복지 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의료조직 및 보건관련 기관 현장 답사를 통해 경력개발의 기회를 제공한다.
  • This course inquires into health, illness, and medical care from sociological perspectives. The course explores the nature of health and illness as sociological concerns, and outlines some major issues in health care delivery. It also provides opportunity for career development through on-site exploration of medical organizations and health-related institutions so that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advance into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33715 사회정책(Social Policy)
  • 복지국가의 사회정책은 시장의 실패를 예방, 수정하고 균등한 재분배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정책을 포괄한다. 이 과목은 서구 및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유형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 후, 다양한 주제별, 분야별 사회정책에 대한 심층적 탐구를 실시한다. 수강생은 사회정책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통찰력과 더불어 현실에서 경험하고 있는 사회정책을 형성, 집행, 그리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기대된다.
  • Social policy is the study of the welfare state. This course explains the sociological context of welfare provision, and explores its relationship to politics and society. More specifically, this course reviews key theoretical perspectives on welfare state regimes, and several policy issue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new social risks.
36797 양적연구방법(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 학생들은 사회과학 자료분석에 필요한 양적연구방법을 배우고 컴퓨터로 실습한다. 이 과목은 통계적 원리를 강조하는 사회통계와 달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소개한다. 통계원리의 기초를 소개하므로 기초통계나 사회통계를 미리 수강하지 않아도 되며, 대화, 피드백, 사례 및 독창적 적용을 중시한다.
  • The course provides various quantitative methods for data analysis in social sciences and practice with computers rather than teaches fundamental principles of statistics. Prior course-taking in introductory or social statistics is not requisite, though recommended. The course emphasizes creative application and dialogue.
36798 법과 사회(Law and Society)
  • 이 과목은 법과 문화와 사회 간의 관계, 법의 사회적 기초, 입법과 사법의 제도적 구성, 법과 사회 변동에 대한 사회학적 시각과 분석방법을 다룬다.
  • The course deals with the relations between law and society, foundations of law, legislation and judicial interpretation for regulating behavior, law and social change, and the legal profession.
30205 범죄 사회학(Sociology of Crime)
  • 이 과목은 범죄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시도한다. 얼마나 많은 범죄가 행해지며, 어떤 인구집단이 더 많이 범죄를 행하거나 노출되어지며, 또 어떻게 사회가 범죄에 대응해야 너무 적거나 너무 과도한 사회통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이 과목의 주요 목적이다.
  • This course is an introduction to the sociological study of crime. It attempts to explain the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our definitions of crime, various measures of crime and victimization, and theories addressing the causes, responses, and consequences of crime.
33294 생애주기의 사회학(Sociology of Life Course)
  • 생애주기의 사회학은 사회변동이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이해하는 동시에, 현재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세대갈등의 본질을 규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사회변동의 폭이 더욱 확대될 미래사회에서 개인의 삶과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how social change has affected individual life. One of the main subjects of this course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 among generations, which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course will motivate students to try to solve generational conflicts, and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in future society, where the range and speed of change is expected to accelerate.
33300 사회주의 체제변동과 북한 (Post-socialist Transition and North Korea)
  • 이 과목은 한국사회의 사회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분단과 통일의 문제를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북한의 사회구조와 변동을 동유럽과 아시아에서 진행되어온 탈사회주의 체제변동이라는 국제적 사회변동의 맥락 속에서 비교사회학적으로 다루고 한반도 평화와 통일방안에 대해 고찰한다.
  • The purposes of this course are to develop research methods for the study of North Korean society and to examine some selected features of North Korean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y, education, culture, ideology, and inequality. Possible ways of achieving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re also discussed.
36020 정치사회학 세미나(Political Sociology Seminar)
  • 이 과목은 광범위한 정치적 행위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제고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국가형성의 과정과 근대국가에 대한 주요 시각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이 과목은 국가와 권력, 사회운동과 사회혁명, 이데올로기, 국제정치경제학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학술적 성과를 논의한다. 해당 주제와 관련된 한국사회의 주목할 만한 사회적 현상에 대해서는 토론식 수업을 통해 수강생의 사고력과 분석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 This seminar is designed to provide a rigorous exposure to the wide range of theories and research in political sociology. It focuses on the following topics: comparative state formation, power and interests, social movement and revolutions, collective action, ideology,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Students are expected to read all reading assignments prior to class sessions; come to class prepared to discuss the materials.
37185 사회학 경력개발과 현장실습(Career Development and Internship in Sociology)
  • 이 과목은 사회학 전공생을 위한 경력개발 프로그램으로,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직무만족, 조직문화 등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한 후, 조사기관, 시민단체, 기업조직 등에서의 현장실습경험을 통해 리더십과 의사소통 역량, 업무능력 강화를 시도한다. 이러한 현장에서의 인턴십 기회를 통해 수강생은 사회학 전공자로서의 자신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를 얻을 수 있다.
  • This course is designed for Sociology seniors who wish to explore career possibilities in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Its purpose is to provide students with leadership, practical skills, and professional competence through internship opportunities.
37931 세계화와 불평등(Globalization and Inequality)
  • 이 과목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관련한 주요 현안들을 소개하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국가 간 그리고 국가 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다.
  •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the main contemporary issues regarding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impact it has on both international and intranational inequality.
30207 현대사회쟁점 연구(Current Issues in Sociology)
  • 이 과목에서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논쟁적 주제를 학생들이 스스로 선택하도록 한다. 이 과목은 이러한 주제에 대한 수강생의 주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와 분석, 그리고 토론을 통해 이들의 사회학적 통찰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The main purpose of the course of to train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for the sociology major students. Timely issues and contingent social concerns will be analyzed and discussed in the class. More elaborated concepts and analytical tools will be applied to understand various issues and concerns.
33709 환경사회학(Sociology of Environment)
  • 이 과목은 환경에 관한 이슈들을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을 제공한다. 주요 이슈로는 환경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원인과 귀결, 사회불평등과 환경불평등 간의 상호관계, 환경에 대한 사회적 구성과 경험, 환경에 대한 사회이론의 발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경보호라는 정의와 세계변동, 그리고 국가 간 분쟁 등에 관한 논쟁을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를 모색한다 .
  • This course offers an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concern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opics for review include: social causes and social consequences of environmental problems;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equality and environmental inequality; social construction and social experience of the environment; and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the social theory of the environment. Debates surrounding such concepts as sustainable development, deep ecology, environmental justice and global change will also be emphasized.
35093 세계지역연구(Area Studies)
  • 현대 세계사회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 쟁점이 되는 지역이나 국가를 대상으로 정치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구조와 변동을 고찰한다.
  •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acquire knowledge on history, culture, and social structure of some selected countries or regions of the world. In addition, this course explores various sociological issues concerning those countries and regions. The main regions investigated include Western Europe, Eastern Europe, Southeast Asia, and the Far E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