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정보

교과목 소개

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교과목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학원교과목학수번호, 교과목명, 설명으로 구성된 학부교과목표
학수번호 교과목명
G11243 사회학사(History of Social Thoughts)
  • 현대 사회학 이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주요 고전사회학이론을 시대적 구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 Surveys the history of social thoughts and sociological theories from those of Comte, Spencer, Adam Smith, Marx, Durkheim, Weber, Simmel and others.
G11253 사회학 고전이론(Classical Theories of Sociology
  • 고전사회이론가들 가운데, 마르크스, 베버, 뒤르껭 같은 현대 사회학이론의 정립에 공헌한 저자들의 원서를 직접 이해 강독함으로써 사회이론구성 능력의 바탕을 강화하도록 한다.
  • Examines foundational sources and issues in classical theories of sociology by reviewing the major concepts of division of labor, individualism, exchange, class, social control, and ideas and interests among others.
G13045 현대사회학 이론(Advanced Studies in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 기능주의, 갈등이론, 상호작용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 구조주의 이론, 문화적 사회이론 등 현대 사회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정리, 검토함으로써 현대사회의 특성을 사회학적인 전망에서 분석,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This course is a systematic and critical survey of major sociological theories with special attention to functionalism, conflict theories, interaction theories, rational choice theory, structural theories and culturally oriented social theories.
G13092 사회이론 세미나(Seminar in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 현대 사회학이론의 논의에서 새로이 주목받는 이론을 집중 연구하여 그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앞으로의 사회이론발전의 방향에 대한 공헌을 평가한다.
  • Develops tools for the construction of sociological theory. Compares major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study of social organization. Emphasis is placed on adjudicating among competing explanations based on evidence and critical assessment of a theory's logic.
G11239 사회통계 I (Social Statistics I)
  • 이 과목은 확률과 통계의 기초에서부터 가설검정, 분산분석, 회귀분석에 이르는 통계 방법을 소개한다. 수강생들은 통계적 분석방법의 원리 뿐 아니라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도 배운다.
  • The course deals with basic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statistical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Students learn methods of analysis using computer software as well as principles of statistics.
G13041 사회통계 II (Social Statistics II)
  • 이 과목은 사회통계 1이나 그에 상응하는 기초통계를 수강했거나 기초를 갖춘 학생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 진단, 범주형 및 제한된 자료분석, 생존자료 분석, 그리고 패널 자료 분석을 소개한다.
  • The course introduces methods of regression diagnostics, categorical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 analysis, survival data analysis, and panel data analysis to those who have acquired basic knowledge of statistics by taking Social Statistics I or equivalent basic statistics course, or self-study.
G11241 사회통계 III (Social Statistics III)
  • 이 과목은 사회통계 1이나 그에 상응하는 기초통계를 수강했거나 기초를 갖춘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변량 분산분석, 다변량 회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군집분석, 대응분석, 다차원척도법을 소개한다.
  • The course introduc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s model, cluster analysis, correspondence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s to those who have acquired basic knowledge of statistics by taking Social Statistics I or equivalent statistics course, or self-study.
G11310 사회학 방법론(Studies in Sociological Methodology)
  • 사회현상의 분석과 이해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조사방법의 내용과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회조사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 Develops tools for the construction of sociological theory. Compares major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study of social structures and behaviors. Emphasis is placed on adjudicating among competing explanations based on evidence and critical assessment of a theory‘s logic.
G13038 사회조사연습(Advanced Social Research)
  • 사회학방법론에서 습득한 사회조사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하여 실제 조사를 통해 활용하면서 경험적 연구의 역량을 키운다.
  • Preparation of papers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field observation, laboratory experiments, survey procedures and secondary analysis of existing data banks which systematically distinguish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selected aspects of social structure and behavior.
G13043 질적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
  • 질적인 조사연구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실습을 병행하여 사회조사방법으로서의 질적 방법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xamines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non-numerical data used by social scientists to obtain valid, reliable, and meaningful insight into the social world through the analysis of ethnographic field notes, interview transcripts, archival and other interpretative data.
G13076 사회학 연구방법 특강(Seminar in Sociological Methodology)
  • 최근 사회과학계의 양적 질적 방법론을 보다 심도 있게 다룬다. 최근의 발간된 관련 논문들을 통해 최신 방법론의 적용법을 숙지하고 자신들의 논문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xamines current methodological scholarship in the social sciences with an eye to assessing its quality and potential for advanc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Recently published and unpublished work by prominent scholars examined.
G13103 양적분석 세미나(Seminar in Quantitative Analysis)
  • 이 과목은 양적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소개하고 대처 방법을 논의한다. 이 과목은 사회학과의 사회통계 1, 2, 3 혹은 다른 전공에서 통계적 방법 강의를 미리 수강했거나, 기초를 갖춘 수강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 The course, primarily for those who have taken quantitative methods courses, introduces various issues arising in analyzing quantitative data, and discusses methods.
G11286 가족연구세미나 I(Seminar in Family Studies I)
  • 가족연구 세미나는 현안으로 등장하는 가족 관련 이슈를 선택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는 과목이다. 주제 및 연구방법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상되는 주제로는 세계화와 가족의 변화, 출산 파업으로 인한 인구감소 사회와 가족의 양육 및 부양기능 변화, 고령화와 정보화의 충돌, 호주제 폐지 등 가족법 및 가족관련 정책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 This course addresses a variety of timely issues of the sociology of family. Topics covered will vary depending on the interest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may often be connected to recent issues or new directions in research. Examples of possible topics include effects of globalization on the family, life reproductive behaviors and technologies, inequality within or across families, social policies affecting family events etc.
G13078 가족연구세미나 II(Seminar in Family Studies II)
  • 소규모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원 학생들을 위하여 개설된 과목으로, 프로젝트 진행과정에 따라 방법론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및 연구주제 해결의 논리적 과정을 점검한다. 가족을 주제로 한 당시의 현안들을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대학원 학생들의 연구능력을 고양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 Provides a forum for advanced graduate students for presentation of their research. Small group research projects centered on family-related topics that vary by seminar. Expected topics will be; motherhood and fatherhood;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family policies; future of the family in the information society.
G11269 사회학특강 I(Seminar in Sociology I)
  • 현대 사회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하고 여러 분야의 사회학 중 특수 분야를 선택하여 그 특성을 분석, 연구한다.
  • The course focuses on the more specialized topics such as, socio-medical ethics, aging sociology, sociology of emotion and food culture of sociology etc.. The course expands the horizon of sociological paradigm.
G13064 사회학 특강 II (Seminar in Sociology II)
  • 현대 사회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하고 여러 분야의 사회학 중 특수 분야를 선택하여 그 특성을 분석, 연구한다.
  • The course will focus on the more specialized topics such as, socio-medical ethics, Aging sociology, sociology of emotion and food culture of sociology etc.. The course will expand the horizon of sociological paradigm
G11279 한국사회 연구 I(Seminar in Korean Society I)
  • 한국사회의 역사적 상황과 관련시켜 한국사회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 연구하는 동시에 현 재 한국사회의 여러 분야에 걸친 문제점 중 특수 과제를 선택하여 사회학적 전망에서 연구한다.
  • Study of the major theoretical views and approaches that explain Korean soci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and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m in relation to social development toward national reunification will be made in the course.
G13071 한국사회 연구 II(Seminar in Korean Society II)
  • 한국사회의 역사적 상황과 관련시켜 한국사회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 연구하는 동시에 현재 한국사회의 여러분야에 걸친 문제점 중 특수과제를 선택하여 사회학적 전망에서 연구 한다.
  • Study of the major theoretical views and approaches that explain Korean soci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and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m in relation to social development toward national reunification will be made in the course.
G11314 사회학 연구 I(Special Issues in Sociology I)
  • 사회학의 각 전문분야와 인접과학에 관한 지식을 넓히기 위하여, 사회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이론과 인접과학의 이론을 비교하고 정리하여 그 특성을 연구한다.
  • The course will focus on the more specialized topics concerning on the current sociological isuues. The specific subject matter varies from year to year, reflecting the changing interests of both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G11277 비교사회 연구(Studies in Comparative Sociology)
  • 사회간 비교연구를 위한 방법을 익히고 다양한 주제에 관한 비교분석을 통해 사회간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This course examines the logic and methodology of cross-national research in sociology, particularly as applied to studies of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ity.
G11281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Family Counseling)
  • 가족은 위기와 문제가 일상화된 제도이다. 가족이 겪는 다양한 위기 및 문제상황의 원인을 진단해보고 이를 설명하는 개념틀을 폭넓게 모색해본 후, 다양한 해결방안을 강구해본다. 이 과정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체계적 분석을 진행해본다.
G11282 환경 사회학(Sociology of Environment)
  • 이 과목은 환경에 관한 이슈들을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을 제공한다. 주요 이슈로는 환경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원인과 귀결, 사회불평등과 환경불평등간의 상호관계, 환경에 대한 사회적 구성과 경험, 환경에 대한 사회이론의 발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경보호라는 정의와 세계변동, 그리고 국가 간 분쟁 등에 관한 논쟁을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를 모색한다.
  • This course offers an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concern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opics for review include: social causes and social consequences of environmental problems;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equality and environmental inequality; social construction and social experience of the environment; and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the social theory of the environment. Debates surrounding such concepts as sustainable development, deep ecology, environmental justice and global change will also be emphasized.
G11284 섹슈얼리티의 사회학(Sociology of Sexuality)
  • 현대사회의 주요 화두 가운데 하나로 부상하고 있는 섹슈얼리티를 주제로, 개인의 성성이 구성되고 실천되는 사회적ㆍ역사적ㆍ문화적 맥락을 탐색한다. 나아가 섹슈얼리티를 주제로 한 이론적 연구의 역사를 포괄적으로 개관하며, 최근의 경험적 연구 동향을 섭렵한다.
  • This course examines how sexual identities, communities, desires, and practices are socially, historic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We will look at how people reproduce dominant models of sexuality, as well as how a wide range of people--including lesbians, bisexuals, gay men, transgenderists, and self-described queers--contest the power that operates through dominant models of sexuality. Looking at empirical studies and theoretical texts, we will trace the paradigm shift from late 19th century to the feminist and queer theory of recent decades.
G11245 현대사회 심리학(Contemporary Theories of Social Psychology
  • 현대사회심리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함으로써 인간과 사회의 상호의존성을 이해하게 되고 사회조직 내에서의 인간의 심리적 형태적 특성을 분석, 연구한다.
  • Social psychology as a social science has developed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course will introduce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in social psycholog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through the dynam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11288 의료제도와 서비스(Health Institutions and Providers)
  • 의료서비스 전달의 주요 주체인 의료 전문직과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관련 지식, 기술, 전달체계 등이 형성되는 과정에 미치는 문화적, 제도적 영향력과 상호작용을 연구한다.
  • Explores current topics in medical sociology, including the work of doctoring, the experience of illness, and the social distribution of health needs and health resources. Examines how medical knowledge, practice, research, and technology are culturally shaped and institutionally organized.
G11290 문화연구 세미나(Seminar in Cultural Studies)
  • 이 강의에서는 문화사회학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이론과 이론가들을 심도 있게 접근함으로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문화사회학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중요한 개념과 이론들을 한국의 문화현상에 적용하는 훈련을 통하여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론적 틀을 구성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A seminar devoted to the critical discussion of research in progress by members of the seminar, methods, and recently published work about culture, drawing on perspectives i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G11292 여가와 문화(Leisure and Culture)
  • 이 강의에서는 여가의 개념의 사회학적 발전과정과 사회학적 이론과 개념을 사용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여가, 여가산업 등을 연구하는 시각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G11295 사회 행위론(Theories of Social Action)
  • 고전 사회이론부터 현대 사회이론에 이르기까지 인간행위의 이해와 분석을 목표로 하는 이론을 총괄적으로 검토하고 나아가서 앞으로의 사회이론 발전의 방향을 행위론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G11296 한국사회계층 연구(Social Stratification of the Korean Society)
  • 한국사회의 변동에 따른 계층구조의 변화에 대한 제반 문제들을 연구한다.
  • This course deals with various issues of social stratification of the Korean society.
G11299 한국사회 발전론(Social Development of the Korean Society)
  •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적 근대화를 중심으로 현대 한국사회의 발전과 변동의 문제를 다룬다.
G11300 국가와 사회정책(State and Social Policy)
  • 현대사회에서의 국가의 역할 및 사회정책의 성격과 범주를 분석하고, 다양한 사회의 사회정책을 그 사회의 정치경제적, 사회적 맥락과 연결시켜 고찰한다.
  • The aims of this course are to make students aware of the nature and scope of social administration and to relate the study of social policy to its wider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
G11302 가족사(History of the Family)
  • 가족사는 미시사 연구의 핵심을 구성하는 분야로, 가족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세밀한 관찰을 통해 그 경로를 추적해본다. 동시에 근대가족이 출현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해보고, 한국가족의 근대성을 규명하는 작업을 시도해본다.
  • This course seeks to explore the family history as they have varied over time and across societies. The approach taken will be broadly historical and multicultural and will include readings on the social history of family, and the effects of emerging modernity on the family as an institution.
G11304 한국가족연구(Seminar in Korean Family)
  • 한국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제도의 보편적 요소와 한국적 문화와 전통에서 파생된 특수성을 규명해본다. 한국가족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은 한국사회 및 한국인의 특성을 이해하는 시금석이 되어 줄 것이다.
  • This course studies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amily system. It provides a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family structure in the Korean society. Some topics covered include history of family, family-centered patriarchal ideology, gender relations and generational conflict within the family, kinship network, the transformation of work and famil
G11307 노년사회학(Social Gerontology)
  • 한국사회의 분업화에 따른 노인문제를 하나의 사회문제로 이해하면서 그 원인, 결과, 대책 등을 연구한다.
  • Examines basic models of demographic and health transitions, trends in aging and health status, characteristics of medical care and long-term care,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policy. Specific topics include health, functional status, and well-being; socioeconomic status and inequality; family structure and living arrangements; formal and informal long-term care; early life predictors of health and longevity.
G11308 사회이론구성(Theory Construction)
  • 사회과학에서의 이론구성의 방법과 관련된 철학적 가정과 개념적 요인들을 사회학적 맥락에서 논의한다. 특히 개념적 틀, 연역과 검정, 이해함으로써 사회이론의 이해와 구성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G11247 역사사회학(Historical Sociology)
  • 역사사회학은 종래의 사회학의 무역사성과 역사학의 무과학성을 비판하면서 형성된 이론적 방법론적 경향이며, 사회학과 역사학의 결합을 시도한다. 이 과목에서는 인류사회 의 대규모적이고 장기적인 변동(ex. 자본주의발달, 근대국가형성 등) 등을 주제로 다룬 대표적인 역사사회학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이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이론과 방법론상의 주요쟁점을 다룬다.
  • This seminar is a practicum on the problems and techniques of historical research broadly defined. It is a "methods course," designed to acquaint the student with the full range of scholarly procedures available to address historical questions as well as with the problems of research design and management appropriate to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study.
G11311 범죄사회학(Criminology)
  • 범죄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들을 검토하고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범죄행위의 형태와 실태를 분석함과 동시에 범죄에 대한 사회통제기제에 관해 고찰한다.
  • This course will focus on the forms, causes and controls of crime. We will evaluate and assess some of the major explanations of criminal behavior and typologies of crime. In addition, we will examine crime control and crime prevention strategies as they relate to theory, policy, practice.
G11316 대중사회와 문화(Mass Society and Culture)
  • 대중사회의 구조적 특징과 대중문화의 형성과정과 특질을 사회학자들의 제이론에 비추어 고찰하고, 아울러 대중문화가 현대정치사회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 등을 연구한다.
  • The course explores the nature of mass society as a sociological concern and examines various concepts and perspectives on culture and mass society. The main objective of the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ulture in general,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change and culture in a modern mass society. Some selected issues of mass culture will be studied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with an emphasis on social change.
G11318 가족과 의료(Family and Health)
  • 가족과 의료는 가족 사회학과 의료 사회학의 접점에 위치한 영역으로서 사회학의 응용분야를 확장하는데 의미있는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이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주제로는 가족의 부양 및 양육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의료 보건 관련 이슈들, 제반 가족병리 현상, 장애인 가족의 문제, 동성애의 메디칼화 등을 들 수 있다.
  • The course will locate at the intersection of family studies and medical sociology. The course will vary depending on the instructor in charge. Possibilities include the sociology of caregiving, various forms of family pathology, the handicapped family, medicalization of the homosexuals etc..
G11319 산업사회학(Industrial Sociology)
  • 이 과목은 사회학과 유관 학문이 제공하는 분석적 틀을 사용하여 노동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세계적 차원의 구조변화와 그에 따른 연구과제를 체계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조정시장경제 및 자유시장경제국가들의 노동시장 비교연구, 고용의 재 구조화, 노동시장과 차별, 집합적 이해대표와 고용규제의 변화 등이 이 과목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이다.
  •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an introduction to key themes in the sociology of work, employment, and industrial relations. Topics covered will include: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workings of social and liberal market economies; the growth of nonstandard form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s; collective representation and employment regulation.
G11322 문화산업의 구조와 과정(Structure and Process of Cultural Industries)
  • 이 과목은 문화산업의 사회구조와 과정을 다룬다. 주제는 문화산업과 문화부문을 구성하는 인력, 상품의 형성, 조직, 시장, 산업구조, 제도, 정책을 포함한다. 이 과목은 경제사회학, 조직사회학, 문화사회학과 긴밀한 연관성을 갖는다.
  • The course introduces issues on the social structure and process of cultural industries. The issues include people, commodity, organization, market, industrial structure, institutions, and policy, which constitute cultural industries and cultural sector.
G11325 사회계층론(Social Classes)
  • 사회학의 핵심분야인 계급분석의 주요 영역을 탐구하는 이 과목은 계급분석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과 계급구조와 계급분석에 대한 경험적 국제비교의 결과를 검토한 후, 계급형성과 계급타협에 대한 이론적 작업들을 통해 계급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구조화과정을 일별하고, 한국사회의 계급을 사회불평등의 차원에서 재해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 This course explores a range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problems in the analysis of classe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structural properties, the conditions of class formation as collective actors, the dynamics of class struggles, and contemporary inequality in South Korea.
G11249 사회조직론(Social Organization)
  • 사회체계를 구성하는 하위체계로서의 각종 사회조직과 집단의 구조와 기능 및 상호의존성을 분석, 검토한다. 관료제, 리더쉽, 권력, 조직간 네트워크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 Introduces the sociological study of formal organizations. Surveys basic concepts, emphases, and approaches. Attention given to processes within organizations, as well as to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s and their environments. Topics include bureaucracy, leadership and power in organizations,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and coordination among organizations.
G11250 사회발전과 변동 (Social Development and Change)
  • 사회변동과 발전에 관한 다양한 사회학적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근현대 사회의 구조변동의 문제를 다룬다.
  • This course addresses various dimensions of social change and development.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of theory and case studies, students will critically examine changing theoretical orientations and realities.
G11259 정보기술과 사회(Sociology of Information Technology)
  • 현대사회에서의 정보기술의 변화와 그에 따른 인간관계 및 사회구조 변화를 분석한다.
  • This cours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impacts on social relations of individuals and social structure.
G11262 사회구조와 가족(Social Structure and the Family)
  • 가족을 사회구조적 맥락 속에서 조망해보는 본 강의에서는 가족구조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결혼과 출산, 양육과 부양, 가족해체, 나아가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정책적 노력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 This course will explore the family within the social structure. It will examine the systematic and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 structure and change: marriage, reproduction, child-rearing, marital dissolution. This course will conclude with a look at social policy toward family.
G13051 세계지역연구세미나(Seminar in Area Studies)
  • 현대 세계사회의 변모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세계 각 지역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구조와 변동 및 그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다룬다.
  • In order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the global society,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aspects of social change in selected areas.
G13053 현대사회의 불평등(Inequality in Contemporary Society)
  • 사회계층 현상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불평등의 양상을 고찰한다.
  • This course explores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social inequality. It focuses primarily on inequalities rooted in the economic order but it addresses as well the interrelations between class and other forms of inequality such as race and gender.
G13056 이데올로기와 사회운동(Ideology and Social Movement)
  • 사회운동의 형태, 전개과정 및 조직적 특성을 설명하는 사회이론과 방법을 살펴보고 동시 에 이데올로기와 사회운동의 상관성을 고찰한다.
G13057 정치사회학(Political Sociology)
  • 인간사회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정치 내지는 권력의 문제에 관한 논의를 소개하고 다양한 집단이나 사회에서 발생하는 정치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도모한다.
  • This course introduces social aspects of politics and nature and distribution of power in society. It also examines the dynamic relationship of the political process with institutions and different population groups in society.
G13058 도시사회학(Urban Sociology)
  • 한국사회의 도시화 현상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와 도시화과정에서 발생한 도시생활양식과 도시문제를 사회전체구조와의 관련 속에서 연구한다.
  • This course reviews competing theories of urban development, especially their ability to explain the changing nature of cities under the impact of advanced industrialism. Analysis includes a consideration of emerging metropolitan regions, the microstructure of local neighborhood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ast American experience as a way of developing urban policy both in this country and elsewhere.
G13060 가족사회학(Seminar in Family Sociology)
  • 가족을 사회학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시되는 주요 이론 및 분석과 개념을 소개 하고 현대 사회 속에서 변화되어 가는 제반 가족문제를 연구한다.
  • This course examines patterns and trends in the family life, both sociologically and historically. Topics covered include changes in the nature of marriage; women󰡑s roles; kinship relations;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s; divorce; and child rearing.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key concepts and approaches in social theory to understanding the workings of the family system.
G13062 종교사회학(Seminar in the Sociology of Religion)
  • 종교의 사회학적 의미, 종교적 조직의 구조, 종교와 사회구조와의 관계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 특히 사회에 있어서의 종교의 역할과 종교현상의 변화양상을 사회변화와 관련하여 연구한다.
  • A seminar devoted to the critical discussion of research in progress by members of the seminar, methods, and recently published work about religion and culture, drawing on perspectives i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G11264 경제사회학(Economic Sociology)
  • 사회집단, 조직, 연결망, 정치와 문화, 제도 등의 사회적 변수들이 생산, 소비, 유통에서의 경제행위와 시장과 같은 경제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나아가 경제사회학이 정치경제학적 연구에 미치는 함의도 살핀다.
  •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groups, organizations, networks, politics and culture, and institutions on the economic behaviors in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s well as economic institutions such as markets. Also explores their implication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G13065 일탈과 통제(Deviance and Social Control)
  • 일탈행위의 원인과 과정을 설명하는 현대사회학설을 살펴보고 특히 산업사회의 구조적 특성이 유발하는 일탈행위에 초점을 둔다.
  • reviews sociological perspectives, theories, and empirical researches of deviant behavior to rp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social order and change. Also explores the social control mechanism with emphasis on Korean society.
G13067 의료보건 사회학(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 건강이란 신체적, 정신적, 나아가서는 사회적 안녕의 상태라는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의료 사회학의 주요개념, 이론 그리고 보건의료와 관련된 경험적 연구들을 소개하므로 사회제도의 한 영역으로서의 보건의료제도를 이해하는 시각을 넓히고 건강 및 질병에 관련된 사 회, 문화적 여러 조건들을 검토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 explores the social context of health, illness and the health care system in the society and examines issue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illness, the healing professions, health policy, relations between providers and patients, and the effects of social inequality on health. These issues will be explored at the micro, meso and macro levels of health and health care.
G13069 문화사회학(Sociology of Culture)
  • 문화는 요즘에 들어 가장 많이 듣는 단어 중의 하나이면서 동시에 너무 많은 뜻으로 쓰이고 있어 명확한 개념을 갖기가 가장 어려운 단어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문화를 사회학적으로 다루는 문화사회학은 현재 가장 빨리 발전하고 있는 사회학 분야로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한 분야이다. 이 분야는 예술, 대중매체, 대중문화, 종교, 과학, 법, 언어, 인지, 지식 등등의 광범위한 주제를 포괄하고 있다. 이 강의는 아직 한국에서는 생소한 문화사회학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다양한 이론들과 연구들을 접함으로서 우리가 부딪히는 많은 현상들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문화사회학적 시각을 제공한다.
  • A review of contemporary themes and approaches in the sociology of culture. Topics will include theories of media and mass society; high-brow and low-brow in cultural consumption; class, culture, and power; the production of culture; neo-institutionalism and the dissemination of schema; culture and cognition; incorporating culture in macro-theories of social change; and current methodological strategies for the empirical study of cultural processes
G13072 성과사회 불평등(Gender and Social Inequality)
  • 성과 계급간의 상호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사회학 이론특과 개념을 정리해 보고, 한국 사회에서 성과 계급의 관계가 어떠한 양식으로 구조화 되고 있는지 실증적 자료를 통해 살펴본다.
  • Examines the evidence about the nature and causes of gender stratification in post-industrial societies. Consequences of gender stratification for family life, for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and for class inequalities are considered.
G13073 사회주의체제 변동연구(Seminar on Post-socialist Social Change)
  • 사회주의체제의 역사적 성격을 비교사회체제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탈냉전 이후 탈사회주의 변동과정을 정치경제학적이고 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 After examining main features of state socialist systems, this course deals with various sociological issues of post-socialist social change in Eastern Europe and Asia with a main focus on North Korea.
G13074 북한여성 및 가족연구(Studies in North Korean Women and Family)
  •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북한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족제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해보고, 북한여성 및 가족연구를 위한 자료를 다각도로 발굴해 본다.
G13075 가족정책연구(Seminar in Family Policy)
  • 최근 급격한 사회변화 과정에서 가족위기가 고조되면서 가족정책에 대한 관심 또한 증대되고 있다. 사회학적 이론 및 개념틀을 활용하여 가족정책에 담긴 이데올로기적 요인을 분석하고, 가족정책 입안 과정의 집단간 권력갈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미래 가족정책의 방향을 예측해본다.
  • This course surveys research and theory in the growing area of family policy studies. Explores how social structure and family life interconnect and influence each other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linkages for women, men, children, employers, the community and society. Examines how gender, social class, and family structure affect individuals󰡑ability to manage family task in the process of rapidly changing societies. Topics will include work-family conflict; child care and elder care issues; changing attitudes towards work-life integration. Private and public policy initiatives will be reviewed.
G11266 현대사회의 일과 조직(Work and Organiz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 4차산업혁명의 등장은 현대사회의 일과 조직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수업은 비정규직을 포함한 모호한 고용관계의 주요 쟁점과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검토한다.
  • Surveys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organizations, works and labor relations in industrial society. Reviews classical and contemporary theories of work and organizations. Attention to perspectives including ecological, institutional, resource dependence, transaction-cost, agency theory, learning theory, and organizational culture. Examination of phenomena at multiple levels from the establishment to the organizational network or field.
G13079 과학기술의 사회학(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과 기술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방법을 익히고, 과학과 기술에 관련된 다양한 사회학적 문제를 고찰한다.
  •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range of approaches and issues involved in the study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G13081 세계정치경제(Global Political Economy)
  • 세계사회의 수준에서 발생하는 권력과 부의 추구라는 정치경제 현상에 이론적 경험적 분석을 통해 현대 세계의 작동원리를 파악한다.
G13085 여성과 조직(Gender and Organization)
  • 조직에 있어서의 성별화된 측면을 논의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그 원인과 결과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 Discusses the organization of work and its gendered dimensions. Explores the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existing divisions of organization and labor for women drawing on readings from multiple disciplines.
G13087 연결망 이론과 분석(Network Theory and Analysis)
  • 이 과목에서는 사회적 연결망이 생성, 재생산, 변화하는 기제를 이론적으로 조망하고 다양한 연결망 분석 기법을 소개한다. 연결망 이론과 분석은 행위자, 조직, 상징들 간의 연결망에서 나타나는 발현적 속성에 초점을 둔다.
  • This course introduces theories on social networks, and various methods of network analysis. The theories and analyses focus on the emergent properties arising from the network structures among actors, social organizations and symbols.
G13088 사회정책연구(Studies in Social Policy)
  • 사회학에서 현재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정책문제와 그에 관련된 쟁점들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와 분석을 한다.
  • An advanced seminar on selected policy issues of current interest in sociology. The specific subject matter varies from year to year, reflecting the changing interests of both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G13090 예술과 사회(Art and Society)
  • 이 과목은 예술작품이 사회적인 산물이라는 시각과 함께 문화사회학의 중요분야인 생산의 사회역사적 상황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예술작품의 사회적 지위를 분석하는데 있어 사회학적 상상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Works of art are social products. As such, they are able to provide us with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socio-historical conditions of their production. In this course, we will enlist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to analyze the social position of works of art along with thei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reception.
G13092 사회이론 세미나(Seminar in Com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 현대 사회학 이론의 논의에서 새로이 주목받는 이론을 집중 연구하여 그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앞으로의 사회이론발전의 방향에 대한 공헌을 평가한다.
G13095 사회심리연구(Seminar in Theories of Social Psychology)
  • 이 과목의 목적은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에 있다. 두 사람 간의 관계에서부터 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에서의 사회와 개인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다루며, 주요내용은 정체성, 행위, 인간관계, 사회적 딜레마, 집합행동 등이다.
G13097 북한사회연구(Studies in North Korea)
  • 북한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체계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적으로 이해하면서 그것이 남한의 체계 및 생활상과 어떻게 대조되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 The course introduces the sociological study of the North Korea. Surveys basic concepts, emphases, and approaches. Topics include social inequalities, bureaucracy, leadership and power in organizations, everyday life, and social mobilities.
G13098 여성과 사회발전(Women and Social Development)
  • 성 편견, 성차별이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기능을 어떻게 평가절하하고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후 사회발전에 여성이 실제로 어떠한 공헌을 하였고, 또 앞으로 공헌할 수 있는가를 모색한다.
G13101 현대사회의 성역할(Sex Role in the Modern Society)
  • 성차의 생리학 및 심리학적 최근 연구결과에 비추어 여성능력개발에 대하여 비판적 검토를 하며 역할을 사회구조적 변화에 관련시켜 고찰한다. 그리고 여성역할변화를 위한 사회 구조적 시도의 사례를 비교, 검토하고 여성해방 및 여권향상을 위한 고전적 및 현대적 이 론을 살펴보고 한국여성운동의 성격을 타 사회 여성 운동과 비교하여 살펴본다.
G13106 시민사회연구(Sociology of Civil Society)
  • 이 과목은 국내 및 국제사회에서 시민사회의 구성과 발전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다. 국내 및 국제적 차원에서 시민권의 형성과 시민참여의 발전과정의 여러 측면들이며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아 인권, 여성, 평화, 환경, 보건, 복지, 노동 등의 영역에서 국제기구나 국제사회운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국제 연대와 협력을 분석한다.
  • This course examines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Topics includ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itizenship and civic participat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ttings. The course emphasizes the emerging trend of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r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 in the areas of human right, women, peace, environments, health, welfare, and labor in the age of globalization.
G13109 수리사회학 연구(Mathematical Research in Sociology)
  • 이 과목은 수학과 컴퓨터 모의실험(simulation)에 의거하여 사회의 구조와 과정을 연구하는 이론과 방법을 다룬다. 연구대상은 사회구조와 과정, 사회적 상호작용, 확률과정, 복잡계, 네트워크, 경쟁과 협력, 진화와 변화 등이다.
  • The course discusses various issues and methods for mathematical models based on mathematics and computer-simulation in the areas including social structure and process, interaction, stochastic process, complexity, network, competition and cooperation, evolution and change.
G13111 비교노사관계 세미나(Seminar in Comparative Industrial Relations)
  • 이 과목은 '자본주의의 다양성' 논쟁과 함께 5개의 선진 자본주의국가의 노사관계 시스템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세미나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국가는 영국, 스웨덴, 독일, 일본, 그리고 한국이다.